본문 바로가기

건강

빈혈의 예방과 치료 방법

빈혈은 신체 조직에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혈중 헤모글로빈의 수치가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세계 보건기구에 의하면, 남성의 경우는 혈색소 농도가 13g/dl, 여성의 경우 12g/dl, 임산부의 경우는 11g/dl 미만인 경우 빈혈로 정의합니다. 

빈혈은 모든 연령대에서 나타날 수 있고, 잘못된 식습관이나 만성 질환이나 유전 질환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우리는 빈혈을 어떻게 예방하고 치료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빈혈의 예방

균형잡힌 식사

철분, 비타민, 미네랄이 풍부한 균형잡힌 식사를 하는 것은 빈혈을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철분이 많은 음식으로는 붉은 고기, 가금류, 생선, 콩 및 잎이 많은 녹색 채소 등이 있습니다. 비타민 C는 철분을 흡수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감귤류라던지 딸기, 브로콜리와 같은 비타민 C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섭취하면 좋습니다. 엽산과 비타민 B12도 빈혈 예방에 중요하고 이것은 시리얼이나 계란, 유제품 및 육류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철분 보충제 섭취

철분 보충제는 빈혈 예방에 도움을 주며, 특히 빈약한 식단이나 의학적으로 상태가 안 좋아서 빈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과도한 철분 섭취는 해로울 수 있으므로 철분 보충제를 섭취하기 전에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만성질환 관리

염증성 장 질환이라던지 신장질환, 암과 같은 질병은 빈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질환을 잘 관리하면 빈혈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것은 이러한 만성질환들을 식별하고 잘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것입니다. 

특정 음식 피하기

차나 커피, 유제품은 철분 흡수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철분의 흡수를 방해하는 탄산과 인 성분은 피해야 합니다.  따라서 홍차, 녹차, 커피, 탄산음료 같은 이러한 음식들은 가급적 식후 1시간 이내에는 피하고, 철분제와는 같이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만들기

흡연과 과도한 음주를 피하고, 적당한 운동과 신체활동을 유지하고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등의 건강한 라이프스타일도 빈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빈혈의 치료

빈혈의 치료는 빈혈의 원인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빈혈의 근본적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이에 맞게 치료해야 합니다.  빈혈에 대한 몇가지 치료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철분보충제

일반적으로 철 결핍성 빈혈의 경우, 이것을 치료하기 위해 종종 철분 보충제가 처방됩니다. 철분보충제는 경구로 복용하거나 혈액에 직접 주사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철분 섭취는 그러나 몸에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지시에 따라 투여되는 것이 좋습니다. 

비타민 보충제

만약 병원에서 진단을 받았을 때 빈혈의 원인이 비타민이나 엽산 결핍과 같이 영양소가 부족한 것이 원인이 되었다면, 환자 스스로 충분한 영양 섭취를 통해서 해당 영양소를 보충하도록 해야 합니다. 비타민 B12나 엽산 결핍의 경우에는 비타민 보충제로도 치료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 C도 체내의 철분 흡수를 도와주기 때문에 꾸준히 챙겨먹으면 좋습니다.

수혈

심한 빈혈의 경우는 때로 수혈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 치료

암이나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질병으로 인한 빈혈은 이러한 질병을 잘 치료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염증성 장 질환의 경우에는 그러한 질병을 약물로 잘 다스리면 빈혈 개선에도 도움이 됩니다.

 

빈혈은 다양한 방법들을 통해 예방 및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균형잡힌 식사와 충분한 영양소 섭취, 특정 음식을 피하고 만성질환 관리, 건강한 습관을 관리하는 것은 모두 빈혈을 예방하는 방법입니다. 빈혈은 치료가 어렵지는 않지만 부족해진 적혈구가 정상으로 돌아오는데는 수주나 수개월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빨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역 체계를 강화하는 7가지 음식  (0) 2023.03.07
부정맥 원인, 증상 및 치료  (0) 2022.04.18
건강한 심박수 (Heart Rate) 관리하는 법  (0) 2022.03.31
인후통 주요 원인  (0) 2022.03.28
건강을 위한 숙면  (0) 2022.03.27